한화첨단소재 썸네일형 리스트형 엄지족 가고 검지족 뜬다. 지금은 터치 전성시대! ▲ 터치 스크린 이미지 (출처: www.touchdynamic.com) 하루 중 제일 바쁜 손가락은 어디일까요? 아마 검지 손가락이 아닌가 싶은데요. 그만큼 검지 손가락이 하는 일이 아주 많아졌습니다. 사진을 찍고, 원하는 물건을 주문하고, 통장의 잔고확인까지. 많은 일들이 검지 손가락을 이용해서 처리하는데요. 무슨 소리냐고? 바로 '터치(TOUCH)' 이야기입니다. 우리는 지금 터치 하나로 이루어지는 세상을 살고 있습니다. 사실, 터치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아요. 휴대폰이 나오기 시작한 것도 불과 20여년 전이라고 하는데요. 하지만 터치는 이미 우리 세상에 깊숙하게 스며들었고 이제는 터치를 떼놓고 생각할 수 없는 삶을 살고 있습니다. "난 스마트폰 외에 터치 스크린을 별로 쓸 일이 없는데?"라고 생각하.. 더보기 영화 속 '하늘을 나는 자동차', 현실화 될까? ▲ 영화 제 5원소 中(출처: 네이버 영화) 출퇴근길 꽉꽉 막힌 도로 위에서 꼼짝 못하고 움직이지 못할 때, 멀리까지 늘어서 있는 차량 행렬들을 바라보면서 누구나 한번쯤 상상해봤을 거에요. 차가 위로 붕 떠올라 교통체증에 관계없이 시원하게 나는 모습을요.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상상에 그치고 마는데요. 차가 하늘을 날아다니다니, 이건 영화 속에서나 가능한 이야기잖아요. 그런데 얼마 전 영화에서나 등장할법한 ‘하늘을 나는 자동차’가 곧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바로 슬로베키아의 벤처기업 ‘에어로모빌(AeroMobil)’사에서 오는 2017년에 ‘플라잉카(Flying Car)’를 상용화하겠다고 발표한 것인데요. 이제 꽉 막힌 출퇴근길은 옛말이 되는 것일까요? 폭스바겐, 바퀴없는 자동차 '.. 더보기 한화첨단소재, 호국보훈의 달 맞아 국립서울현충원 참배 지난 2일, 제 60회 현충일을 맞아 한화그룹 임직원들이 대전광역시 유성구 갑동에 위치한 '국립대전현충원'을 방문했습니다. 나라를 지키기 위해 숭고한 희생을 하신 순국선열과 호국영령들의 희생정신을 기리고자 마련된 이번 참배 및 봉사활동에는 한화첨단소재 이선석 대표이사님을 비롯해 (주)한화 대전사업장 및 종합연구소 등 대전 및 충청지역 주요 계열사 임직원 50여명이 함께했습니다. 한화첨단소재 대전 현충원 호국영령 참배 나라를 위해 몸 바쳐 희생한 호국영령의 넋을 위로하는 현충탑 참배를 하는 한화 임직원 모습입니다. 한화는 국내 대표 방위산업체로서 대한민국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국가수호의 결의를 다지고자 2011년부터 국립서울현충원과 자매결연을 맺고 년 2회 이상 묘역정화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애국선열 .. 더보기 7월 여름 문화 여행, 세종호수공원으로 떠나요! ▲ 사진 출처: 세종시 공식 블로그 http://sejongstory.kr/ 세종시민들의 문화 쉼터, 세종호수공원을 아시나요? 세종호수공원은 국내최대의 인공호수로 크기가 축구장의 62배, 평균 수심이 3미터인데요. 세종호수공원과 어울리는 국립세종도서관, 그리고 배경으로 펼쳐지는 전월산의 모습은 한폭의 그림입니다. 이렇게 아름다운 곳에서 세종시는 '문화가 있는 날(매주 마지막 주 수요일)'을 지정, 지난 3월 25일과 5월 27일에 공연을 펼쳤는데요. 오는 7월 29일 저녁에 세종호수공원에서 공연을 가질 예정이라고 합니다. 무더운 여름 밤, 복잡한 피서지를 피해 조용하면서도 여유롭게 자연과 문화를 즐기고 싶으시다면, 세종시 호수공원으로 지금 떠나세요! 자연과 문화가 어우러진 쉼터, 세종호수공원 ▲ 사진 출.. 더보기 한화첨단소재, 경량복합소재 개발센터 신축! 한화첨단소재가 올 하반기 완공을 목표로 세종시 조치원에 '경량복합소재 개발센터'를 신축 중이랍니다. 한화첨단소재는 자동차, 전자, 태양광 소재 전문 기업인데요. 그중에서도 '자동차 소재'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한화첨단소재는 세계시장 점유율 1위인 자동차 경량복합소재로 이미 2개 품목을 보유하고 있는데요. 바로 'GMT(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와 'LWRT(저중량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입니다. 그리고 세계 자동차 경량화 복합소재 시장 1위를 위해 현재 세종시에 3만9670㎡(1만2000평) 규모의 부지에 '경량복합소재 개발센터'를 짓고 있는데요, 이 센터에는 연구동, 후생동, 범퍼 실험실 등이 들어선다고 합니다. 센터가 완공되면 경량화 복합소재 가짓수는 더욱 다양해지고, 성형기술 기밸알 통해.. 더보기 이전 1 ··· 99 100 101 102 다음